유전적 요인
연구에 따르면 ADHD 로 진단된 아동의 부모나 형제가 ADHD가 될 가능성이 2배~8배 정도 좊다고 알려졌다.
입양아동의 예를 들면 입양아동이 ADHD 인 경우, ADHD의 확률을 보면 입양한 부모는 6% 형제는 8%이고, 생물학적 부모는 18%, 형제는 31%로 알려졌다.
또한 유전자가 동일한 일란성쌍둥이와 50% 동일한 이란성쌍둥이에서의 ADHD 발병률의 유전을 비교하는 연구에 따르면 ADHD 유전성은 무려 76%라고 전해집니다.
ADHD의 높은 유전성은 확인되지만, 이를 유발하는 특정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으며 이는 다른 정신질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토대로 유전과 환경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ADHD를 유발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경적요인
1.임신과 출산
신생아가 미숙아일 경우 ADHD의 발병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임산부의 음주,흡연,심한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산부가 다른 정신적인 문제가 있었거나 신생아가 ADHD 말고 다른 문제가 함께 동반되는 경우도 있기 ADHD의 원인이라 판단하기에는 부족합니다.
2.사회심리적
사회적 환경이 ADHD의 원인으로 볼 수있는 이유는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나 교육수준, 양육 스타일, 부정적인 관계, 따돌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동이 ADHD일 경우의 양육스타일과 품행장애 때문에 이런 요인들이 관련되어 나타났을 수도 있어서 현재는 이런 사회적 요인들은 원인보다는 위험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3.독성물질, 결핍, 감염, 외상
임신중이거나 초기 아동의 뇌가 발달사는 시기에 환경독소의 노출과 영양결핍 또는 과다섭취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로 보이나 위험요소로 보기에는 부족합니다.
신경학적요인
1.인지조절 네트워크
주의집중, 정보처리, 충동억제, 각성 등의 기능을 배외측 저젖두피질, 안와저젖두피질, 전대상피질, 기저핵, 소뇌의 네트워크에 해당됩니다.
일반사람들은 무엇인가에 집중해서 생각할 때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지만 ADHD에서는 이 네트워크의 기능이 비활성화 되는 소견을 보입니다.
2.디폴트모드 네트워크
디폴트 모드는 사람을 예로들면 ‘깨어있지만 아무것도 안하는 상태’ 라는 뜻입니다.
이럴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를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언가에 집중할때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는 약해지고, 집중하지 않을 때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는 강해지는데, ADHD 보유자는 디폴트네트워크가 활성화될 때어도 약해지지 않고, 디폴트모드 네트워크 연결성도 매우 약하다고 합니다.
3.도파민 회로
도파는회로는 중뇌에서 시작하여 피질,변연계로 이어집니다.
이는 동기,보상,실행 기능을 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회로에 속하는 신경말단에서 도파민이 분비됩니다.
ADHD 보유자는 이 회로의 기능이 약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ADHD 치료제는 대부분 도파민의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