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불안장애란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이고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고통을 느끼는 정신장애입니다.
불안과 공포는 정상적인 정서 반응이지만 지나칠 경우에는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고 정신적 고통과 신체적 증상을 보입니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불안으로 교감신경이 흥분되어 두통, 심장 박동 증가, 위장관계 이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불안장애의 질환으로는 7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공황장애(panic disdrder)
-광장공포증(agoraphobia)
-범불안장애 (generalizes anxiety disorder)
-사회불안장애 (social anxiety disorder)
-특정 공포증 (specific phobia)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ty disorder)
-선택적 함구증 (selective mustism)
증상
-공황장애 : 갑자기 심한 공포와 불안함이 급격히 최고조에 이르며 호흠곤란,가슴 답담함 ,심장박동 증가, 발한 같은 신체적 증상과 죽을거 같은 두려움 같은 정신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광장공포증 : 군중 속에 있거나, 집 밖에 혼자 있는 상황에서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느끼며 회피하려고 하는 상태가 6개울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범불안장애 : 아주 사소한 일에도 과도한 불안이 장기간 지속되며, 이를 혼자서 통제할 수 없고 다양한 신체증상(불면증,근긴장도 증가)을 나타냅니다.
-사회불안장애 : 사회적 상황에 대한 회피를 하며 부정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심한 공포와 불안을 경험합니다.
-특정 공포증 :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지나친 공포를 느끼며 울음을 터뜨리거나 의식을 잃고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습니다.
-분리불안장애 : 애착을 형성하고 있는 대상이 꼭 옆에 있어야 하고 잠시라도 분리가 되면 심한 불안을 느낍니다. 복통,두통, 구토 등의 신체증상을 호소하면서 관심을 끌기도 합니다.
-선택적 함구증 : 자신이 가깝다고 생각하는 사람과는 대화하지만 낯선 사람이나 특정 상황에서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진단과 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찰과, 평가 설문지를 통하여 진단과 검사를 합니다.
치료
항우울제와 항불안제를 처방하는 약물 치료가 주를 이룹니다. 항불안제는 즉각적인 불안증상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하며, 항우울제는 투여 후 2주 후에 효과를 나타냅니다.
비약물적 치료는 인지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교정하고 환자가 갖고 있는 불안증상과 행동을 조절하는 행동치료를 뜻합니다. 행동치료자들은 체계적둔감법과 이완훈련법으로 기술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경과와 합병증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적절하게 받으면 불안이 감소하고 회복 될 수 있으나 재발 가능성이 많고 만성화되기도 합니다.
불안장애는 기분장애를 동반하며 불안과 수면장애를 줄이기 위하여 술을 마셔 알콜의존과 같은 중독질환이 발생합니다.